애플이 월 10달러만 내면 모든 언론사 유료 기사까지 볼 수 있는 ‘뉴스판 넷플릭스’ 앱 출시를 예고했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애플이 여러 매체의 뉴스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뉴스 앱을 개발해 출시한다고 보도했다. 애플은 다음 달 25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쿠퍼티노 애플파크 스티브 잡스 극장에서 새로운 구독형 뉴스 서비스를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의 구독형 뉴스 서비스 개념<출처:나인 투 파이브 맥 홈페이지>보도에 따르면 애플 뉴스 앱은 월 10달러를 내면 지금 언론들이 유료 기사 둔 것까지 모두 볼 수 있다.여러가지 외신을 종합하면 애플의 구독형 뉴스 서비스는 가칭”넷플릭스 포 뉴스”(Netflix for News)라는 이름이 붙었다.미국 최대의 온라인 스트리밍 업체인 넷플릭스처럼 구독자가 월액을 내면 하나의 플랫폼에 콘텐츠가 쌓이면서 소비자는 유료 뉴스 서비스를 무제한으로 뽑아 읽을 수 있다.마치 넷플릭스에서 영화를 고르고 보듯 뉴스를 소비하는 것이다.애플 뉴스 앱은 구독자에는 싼 뉴스를 볼 수 있는 대안이다.말할 것 없이 월 스트리트 저널의 디지털 구독료(월 20달러)를 낸 구독자는 그 절반인 10달러만 내고, 월 스트리트 저널을 비롯한 다른 언론의 유료 뉴스까지 다 볼 수 있다.
애플이 뉴스 앱 서비스에 도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아이 폰 판매 저하로 신성장 동력으로 눈을 돌리는 것으로 분석된다.현재 iPhone등 하드웨어 매출이 둔화되는 상황이다.애플은 지난해 제4분기 매출액 843억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40억달러 감소했다.영업 이익 전반에 보면 큰 지장은 없지만 핵심 판매원인 iPhone출하가 크게 줄었다.아이 폰의 매출은 519억 8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감소했다.2018년 제4분기 중국 아이 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9%감소했다.스마트 폰 시장 점유율은 11.5%로 4위를 차지했다.아이 폰 판매량이 2자리 수 급감한 것은 이례적이다.즉시 애플이 뉴스 앱 서비스 부문의 매출에 크게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다만 넷플릭스의 같은 구독형 비즈니스는 플랫폼 사용자를 확실히 끌어들이고 충성 고객에 가둘 수 있다.그 뒤 손님 확장과 새로운 서비스 확대에 뉴스 앱 서비스가 초석이 될 수 있다.다만 최근 언론들도 역시 낮아질 마진에 의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매출이 나오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언론사의 반발이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의 뉴스 앱 서비스의 월 구독료 10달러 중 수익의 50%는 애플이 갖고 나머지 절반은 보도 기관이 가져가는 구조이다.iPhone…iPad사용자 가운데 상당수가 구독형 서비스에 가입한다고 가정하면 애플은 월 앱 서비스 비용 10달러에서 한명당 5달러씩 버는 것이다.보도 기관별 수익을 나누는 기준은 구독자가 어느 보도 기관을 선택할 때 얼마나 많은 시간 보느냐에 따라서 차등 배분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그러나 번들형 뉴스 서비스에 기사를 제공하는 곳이 적어도 수십곳에서 많게는 수백곳의 미디어에 이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떻게 수입 배분을 하는지 묘수를 찾아내기 어렵다.노출되는 뉴스에 띄는 광고 관련 수입을 배정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애플이 개별 언론과 각각 협상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메이저 신문 뉴욕 타임스(NYT)와 워싱턴 포스트(WP)는 애플 뉴스 서비스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을 뿐 아직 구체적인 협상에는 들어오지 않았다는.텍 플러스 에디터 김·지혜 [email protected]
애플 뉴스앱 서비스 월 구독료 10달러 중 수익의 50%는 애플이 갖고 나머지 절반은 언론사가 가져가는 구조다. 아이폰·아이패드 사용자 중 상당수가 구독형 서비스에 가입한다고 가정하면 애플은 월 앱 서비스 비용 10달러에서 1인당 5달러씩 수입을 벌게 된다.언론사별 수익을 나누는 기준은 구독자가 어느 언론사를 선택하고 얼마나 많은 시간 읽었느냐에 따라 차등 배분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그러나 번들형 뉴스 서비스에 기사를 제공하는 업체가 적게는 수십 곳에서 많게는 수백 곳의 미디어에 이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떻게 수입을 배분하는지 묘수를 찾기 어렵다.노출되는 뉴스에 붙는 광고에 따라 수입을 배분하자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애플이 개별 언론사와 각각 협상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메이저 신문사인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는 애플 뉴스 서비스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만 밝혔을 뿐 아직 구체적인 협상에는 들어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테크플러스 에디터 김지혜 [email protected]
애플 뉴스앱 서비스 월 구독료 10달러 중 수익의 50%는 애플이 갖고 나머지 절반은 언론사가 가져가는 구조다. 아이폰·아이패드 사용자 중 상당수가 구독형 서비스에 가입한다고 가정하면 애플은 월 앱 서비스 비용 10달러에서 1인당 5달러씩 수입을 벌게 된다.언론사별 수익을 나누는 기준은 구독자가 어느 언론사를 선택하고 얼마나 많은 시간 읽었느냐에 따라 차등 배분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그러나 번들형 뉴스 서비스에 기사를 제공하는 업체가 적게는 수십 곳에서 많게는 수백 곳의 미디어에 이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떻게 수입을 배분하는지 묘수를 찾기 어렵다.노출되는 뉴스에 붙는 광고에 따라 수입을 배분하자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애플이 개별 언론사와 각각 협상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메이저 신문사인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는 애플 뉴스 서비스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만 밝혔을 뿐 아직 구체적인 협상에는 들어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테크플러스 에디터 김지혜 [email protected]